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전체 글195

부동산 재산세 납부기준, 납부기간 미리미리 준비하기! 주택을 가지신분들도 건물 아니면 땅을 가지신 분들도 매년 재산세가 얼마나 나올지 계산하셔야 하는데요. 재산세도 꽤 크기 때문에 미리 금액을 예측해야 계획된 지출을 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래서 재산세에 대하여 중요한 핵심만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부동산 재산세 (1) 재산세란? 재산세는 자산보유에 대한 세금입니다. 내가 내 돈 내고 산 부동산에 왜 세금을 매기는지 짜증나시는 분들도 있겠지만 자산에 담세력을 인정하고 자산을 가지는 분들이 국가 등으로부터 공공서비스를 더 많이 받는다고 보아 세금을 부과하고 있는 것입니다. (2) 재산세 부과기준일 재산세는 해당 연도 6월 1일 소유자를 기준으로 부과됩니다. 6월 2일에 매수인에게 소유권이 이전되었다 하더라도 6월 1일에는 매도인이 소유자였기 때문에 매도인.. 2023. 2. 16.
연말정산 기부금 세액공제, 완전정복 먹고 살기 힘든 세상에도 기부를 하시는 수많은 분들 존경합니다. 기부를 하면 할 수록 환급받는 세금이 많아진다는 사실 아시나요? 근로소득자도 개인사업자고 기부를 함으로 돌려받는 세금. 얼마나 돌려받을 수 있을지 포스팅 해보겠습니다. 1. 법정기부금, 지정기부금 기부금에도 종류가 있습니다. 정치자금 기부금, 법정기부금, 지정기부금 등의 기부금이 있는데요. 가장 대표적인 법정기부금과 지정기부금에대해 먼저 알아보겠습니다. 1) 법정기부금 법정기부금은 말 그대로 법으로 정해진 기부금입니다. 국가나 지자체에 무상으로 기증하는 금품, 천재지변, 특별재난 지역으로 선포된 지역 이재민을 위한 구호금품, 사립학교나, 대학병원 등에 기부하는 금품 등이 그 대상이 됩니다. 이런 기부금은 코드10을 사용합니다. 2) 지정기부.. 2023. 2. 9.
접대비VS광고선전비VS판매부대비용VS기부금 구분 및 세금효과 회사에서 회계업무하다보면 애매한 비용들이 많은데 그 중에서도 접대비인지 광고선전비인지 판매부대비용인지를 구분하기 애매한 경우들이 있습니다. 회사에서 정해놓은 기준이 있을수도 있지만 회계와 세법에서 보편적으로 구분하는 기준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1. 접대비 (1) 정의 접대비는 회사의 업무와 관련하여 특정거래처에 접대 등을 위하여 지출한 비용을 말합니다. 접대비로 인정 받기 위해서는 업무관련성이 있어야 하고 대상자가 특정되어야 합니다. 업무관련성이 없이 특정업체에게 지급한다면 기부금으로 볼 수 있겠습니다. 업무관련성이 있으나 불특정다수에게 제공이 된다면 광고선전비 혹은 판매부대비용도 될 수 있습니다. (2) 세법상 적용 1) 접대비가 비용으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20만원 이하 경조금을 제외하고 적격증빙을.. 2023. 2. 6.
부린이를 위한 양도소득세의 기본개념 대부분이 내집마련을 하고 싶고 따박따박 월세 받는 삶을 살고 싶으실 겁니다. 그러나 갑자기 돈이 필요하거나 다른 물건을 사기위해서 부동산을 팔기도 하는데 그 때 당연히 고려해야할 것이 세금! 그중에서도 양도소득세는 필수적으로 알아두어야 할 세금이 아닌가 싶습니다. 지금부터 간략하게 양도소득세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양도소득세란? (1) 양도소득세 의의 양도소득세는 열겨된 과세대상을 사실상 양도하는 경우 양도자가 해당 과세기간(1/1~12/31) 동안 양도로 인하여 얻은 소득에 대한 세금입니다. 양도소득세 신고기한은 과세기간의 다음 연도 5/1~5/31까지로 납세지 관할 세무서에 신고하는 납부하여야 합니다. (2) 양도소득세 특징 1) 양도자별로 합산과세되는 인세이다. 2) 종합소득에 합산하지.. 2023. 2. 3.
반응형